- 핵심 내용: 6·27 대출 규제 이후 서울 아파트 시장은 거래가 사실상 멈추며 ‘거래절벽’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매수·매도자 모두 관망세로 돌아서면서 시장이 위축된 모습입니다. - 변화 요인: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 원으로 제한된 데다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실수요자까지 매수에 나서지 못하는 상황이 형성되었습니다. 동시에 정부의 공급 대책과 추가 금리 인하 여부가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습니다. - 중요성: 서울 주택 거래량은 6월 정점 이후 두 달 만에 70% 가까이 급감했으며, 소비자심리지수도 큰 폭 하락했습니다. 이는 정책 변화가 시장 심리와 실제 거래에 직결되는 민감성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 미래 전망: 단기간 내 거래 회복은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공급 대책의 실효성과 금리 인하 여부가 향후 관망세 해소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는 한 거래절벽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핵심 내용: 한국주택금융공사(HF)가 28일부터 전세보증 심사에 ‘공시가격 126% 룰’을 도입하면서 다가구·다세대 주택 세입자 상당수가 전세대출을 받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세사기 방지와 무리한 갭투자 억제를 위한 조치지만, 비아파트 임대차 시장에 혼란을 불러올 전망입니다.
- 변화 요인: 공시가격의 126%를 초과하는 선순위 채권과 임차보증금이 있으면 보증이 거절되도록 규정이 강화되었습니다. 이미 HUG가 같은 기준을 적용한 데 이어 HF까지 합류하면서 대출 문턱이 한층 높아졌습니다.
- 중요성: 세입자 일부는 전세대출이 막혀 입주에 차질을 빚고, 집주인은 보증금 반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특히 집값 하락 지역이나 비아파트 비중이 높은 곳에서 충격이 더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미래 전망: 이번 조치로 전세 사기 방지 효과는 기대되지만, 동시에 월세·반월세 전환이 가속화되고 비아파트 기피 현상이 심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전문가들은 영세 임차인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교한 보증 심사와 현실에 맞는 공시가격 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